이현진 성장기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실패 2023 네이버 상반기 신입 공개채용에서 떨어졌다. 나는 코딩테스트에서 1문제를 풀었다. 네이버는 결과가 나오기까지 거의 1개월이 걸렸고 나는 그동안 제어할 수 있는 것과 제어할 수 없는 것을 나눴다. 제어할 수 없는 부분은 내가 1문제를 풀었다는 것이다. 제어할 수 있는 부분은 내가 1문제를 풀었더라도 결과가 나올 때까지 면접 준비를 해보는 것이다. 1개월동안 CS 공부 + JS 기초를 더 넓히는 시간을 가졌다. 나름 합격이라는 단기 목표를 두고 덤벼들어서 효율이 좋았다. 덕분에 아래 레포에 면접 노트를 만들었다. https://github.com/back-to-the-basic/interview GitHub - back-to-the-basic/interview: Interview Questions I.. 2023 상반기 네이버 코딩테스트에서 부족했던 점, 개선할 점 23.04.15(토) 10:00 ~ 12:00에 코딩 테스트를 봤다. 프로그래머스에서 진행되었으며 화면 공유 및 모니토를 통해 나를 1m 이내의 거리에서 촬영해야했다. 나는 기존까지 파이썬으로 문제를 풀었다. 소마 코테도 파이썬으로 봤고 응시한 모든 코딩테스트를 파이썬으로 봤다. 이번에 코테 준비를 하며 자바스크립트로 언어를 바꿨다. 이유는 간단했다. 사실 어떤 언어로 풀어도 상관은 없으나 나는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며 주 언어로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해왔다. 파이썬은 코딩테스트를 푸는데 부족함이 없는 좋은 언어이긴하나 자바스크립트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내 주언어로 코딩테스트를 보고싶었다. 파이썬을 코딩테스트용으로 꾸준히 해왔는데, 자바스크립트로 풀어도 충분하다고 생각했고 프로그래머스에서 자바스크립트로 L.. 2022년 돌아보기 딱 일년 전이 기억이난다. 21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때 코딩을 했던게 뭔가 스냅샷처럼 머리에 찍혀있다. 1년이 지난 지금 너무 많은게 바뀌었다. 2022년은 지금까지의 내 인생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년도이다. 시간이 지나면 다 까먹으니까 꼭 기억에 남기고 싶은 2022년은 어떠했는가 돌아보자. 1~3월 커밋들을 보니 React, TypeScript, 알고리즘 커밋이 대부분이었다. 이 때는 React가 익숙하지 않았다. 지금 생각해보면 React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그냥 클론 코딩을 하며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감을 익혔던 것 같다. TypeScript도 뭐.. 그냥 책을 읽으면서 배우고 있었다. 다음으로 알고리즘!. 내가 백준 커밋을 보니 21년 11월에 알고리즘을 시작했고 그 때 매일 한문제씩 .. 충남대학교 SW 아카데미 조교 기록 3, 4주차 3~4주차는 Git Flow를 주제로 Git의 전체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우선 내가 다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Git과 Github의 차이 - VCS(Version Control System) - Commit, Conventional Commit의 이해 - Checkout - Branch - GitFlow - SourceTree 이번 2주동안 Git의 개념과 기초를 많이 찾아보면서 나에게도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명확하게 이해해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기초를 다루는 내용이라도 최대한 읽도록 노력을 했고 오히려 부족했던 기초를 더 탄탄하게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실습을 통해 학생들이 Git을 이해하고 Git 협업을 할 수 있도록 기초를 다졌다. Push, PR에 익숙해 질 수 있도록 .. 충남대학교 SW 아카데미 조교 기록 2주차 CNU SW 아카데미가 1기이다보니 정해진 것들이 많이 없다. 그래서 교수님과 팀장님과 대화를 통해 프로그램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생각을 많이 해봤다. 일단 학생과 조교, 조교와 교수님, 팀장님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위해 카톡 및 Slack을 만들었다. 슬랙에서는 자기소개방, 잡담방, 전체공지방등을 만들어놨고 소통이 훨씬 더 효율적으로 진행되었다. 소모임 다음으로 도입한 것은 소모임이다. 소모임을 도입해서 학생들간 소통 및 공유 문화를 활성화 시키고자 했다. Velog 아무래도 학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보니 개발이 처음이신분부터 컴퓨터 공학과 4학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위의 스펙트럼이 존재하는데 공부한 내용을 쉽게 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기 위해 markdown으로 정리하는 방법을 설명.. Rendering Patterns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컨퍼런스 발표 (22.07.07)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연수생 프론트엔드 개발자 이현진 입니다. 웹 페이지를 그리는 다양한 렌더링 방식 즉 Rendering Pattern들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렌더링은 브라우저 화면에 웹 페이지를 그리는 것을 말합니다. 먼저 유저가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이에 응답으로 html, css, JavaScript를 보내줍니다. 브라우저는 이를 해석하여 웹 페이지를 그립니다. (렌더링을 수행하는 브라우저의 프로세스를 렌더러 프로세스라고 합니다.) 브라우저가 화면에 html, css, JavaScript를 그리는 과정(절차)를 CRP(Critical Rendering Path)라고 합니다. 이 과정은 우선 DOM T.. 충남대학교 SW 아카데미 조교 기록 1주차 CNU SW 아카데미 조교를 맡게 되었다. (22.07.04) CNU SW Academy CNU SW 아카데미 ? 대상자: SW 취업 준비 중인 충남대 4학년 재학생과 졸업생 교육기간: 4개월(16주, 8시간/1일) 교육내용: SW 교육과정 (백엔드, 프론트엔드, 클라우드, AI/데이터) 특징: 참여기업과 수 sites.google.com 이 글은 내가 조교활동을 한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07.04 ~ 07.08) 1주차 발표 웹은 어떻게 발전했는가. (07.05) 정보화본부 3층에 가서 발표를 진행했다. 처음에 화면 공유가 잘 안되서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다. 발표 내용은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컨퍼런스에서 발표했던 내용을 조금 수정해서 발표 했다. 질의 응답까지 한 한시간 정도 한 것 같다. 1주차 .. 2022년 5월 회고 다사다난한 5월이었다. 이번 회고를 통해 나를 좀 더 객관화 해보려고 한다. 어떤 점은 좋았고 어떤 점은 부족했는지 적어봐야겠다. 5월 1일 ~ 5월 10일 Vanilla JavaScript와 코딩테스트 공부를 주로 했다. 프로그래머스에서 JavaScript로 SPA를 만드는 방법을 익히며 몇가지 과제를 풀어보고 연습했다. 5월 8일에 우아한 테크 캠프 코딩테스트가 있었기에 5월 초반부는 Vanilla JS에 집중을 했던 것 같다. 5월 8일에 시험을 봤고 결과는 탈락이었다. 탈락의 이유를 잠깐 생각해보고 지나가면, 나는 우선 4개중 3개는 맞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4번째 문제를 풀다가 제출을 하였다. 탈락 소식을 듣고 나서 다른 사람들의 블로그를 많이 뒤져봤는데, '히든 케이스'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 이전 1 2 다음